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덴탈빈 suture algorithm 1강 필기 - 김재윤 원장님 1강 1. suture 하면서 고려해야 할 사항 - healed ridge or extraction site -> 발치와라면 덮을 수 있는 연조직이 부족하다. - primary closure or trans mucosal suture(힐링이나 어벗먼트 체결한 상태에서) - GBR 여부 - 추가적인 연조직 양이 얼마나 필요한지? - 찢어지거나 터진 부분이 있으면 먼저 꼬매 준다. 2. primary closure or trans mucosal suture (1) 임플란트의 고정력 - 손으로 돌렸을 때 픽스쳐가 돌아가지 않는 정도로 충분히 나오면healing abutment 장착한 상태에서 suture ( 고정력이 20 이상) - 고정력이 아슬아슬하면 primary closure ( 고정력이 15 미만) (.. 더보기
해외 주식 및 해외 ETF 투자시 세금 정리 이번 글에서는 해외 ETF 및 해외 주식, 해외 펀드의 세금 체계를 알아 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해외 ETF와 해외 주식의 세금 체계는 같습니다. 1. 양도소득세 해외 주식에 투자했을 때 부과되는 세금으로는 매매차익에 매기는 양도소득세 22%가 있습니다. 매년 250만 원에 대한 수익까지는 기본공제를 해주고, 수익과 손실을 합산해서 양도소득세를 계산합니다. 해외 ETF도 마찬가지입니다. 양도소득세는 수익과 손실을 합산해서 계산합니다. 만약 A주식에서 6,000만 원 수익, B ETF에서 3,000만 원 손실이라면 매도했을 때 3,000만 원에 대한 기본공제 후 양도소득세 22%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2. 배당소득세 분배금에 대해서도 세금이 부과됩니다. 분배금에는 배당소득세 15.4%가 부과됩니다. 배당소.. 더보기
해외 ETF 투자의 장점 요즘 김태현 저자의 '해외 ETF 백과사전'이라는 책을 읽고 있습니다. 해외 ETF 투자에 관한 많은 정보가 담겨 있어 꽤나 유용한 책입니다. 그 동안은 국내 주식 및 ETF에만 투자를 했었는데 이제는 해외 주식 및 ETF에도 투자를 해보려고 합니다. 워낙 국내의 증권 시장은 국제 정세에 영향을 많이 받고, 대북 risk가 너무 크게 느껴져서 포트폴리오의 다변화를 꾀하고자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ETF 투자는 무엇인지? 그리고 해외 ETF 투자에 투자하는 것이 국내 ETF에 투자하는 것보다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ETF(Exchange Traded Fund) ETF는 주식시장에서 쉽게 거래할 수 있게 만든 펀드를 말합니다. 기초 지수를 패시브로 추종하며, 인덱스펀드에서 한 단계 .. 더보기
DLF 사태에 대해 알아보자 이번 글에서는 2019년 금융투자업계가 시끄러웠던 DLS, DLF 사태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도대체 DLS, DLF가 뭘까요? 1. DLS(Derivative Linked Securities) DLS란 파생 결합 증권입니다. 문제의 DLS는 ‘해외 금리 연계형’이었습니다. 우리은행의 경우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연계형 DLS를 팔았습니다. 구조는 단순 했습니다. 앞으로 6개월 동안 독일 국채 금리가 연 -0.2%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가입자가 투자 금액의 2%를 받습니다. 반대로 6개월 동안 독일 국채 금리가 연 -0.2% 밑으로 떨어지면 가입자가 원금 손실을 입는 구조였습니다. 금리가 떨어지면 떨어질수록 손실 규모는 커집니다. 2. DLF(Derivative Linked Fund) DLF는 파생.. 더보기
신용 부도 스와프(CDS)에 대하여 이번 글에서는 신용 부도스와프(Credit Default Swap), CDS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돈을 빌려주거나 채권을 살 때 가장 염려되는 것이 채권을 발행한 국가, 기업, 금융 회사가 파산하는 일입니다. 그러면 빌려준 돈을 떼이거나 채권을 바로 상환 받지 못합니다. 금융 시장에서는 이러한 일이 발생할 것을 대비하여 안전장치를 만들어 놓았습니다. 그것이 바로 신용 부도 스와프, CDS입니다. 1. 신용 부도 스와프(CDS) 수수료를 내고 채권이 부도 시 상환을 약속받는 것입니다. 이때 오가는 수수료를 CDS 프리미엄이라고 합니다. 이자율이 돈을 빌려주고 받는 대가라면, CDS 프리미엄은 대신 갚아주는 약속을 해주고 받는 대가입니다. 주로 공격적인 성향의 금융 회사들이 CDS 계약을 맺어줍니다. 채.. 더보기
일상 속의 채권 투자, 물가연동채의 개념 지난 글에서는 채권의 금리가 어떻게 결정되는지 알아 보았습니다. 시장의 자금 수급 상황, 위험도에 따라 채권의 금리가 결정된다는 것과 스프레드의 개념을 배웠습니다. https://dentjcs.tistory.com/198 (혹여나 놓치신 분들은 이글로) 이번 글에서는 채권 투자에 대해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채권은 매우 큰 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채권 투자는 우리 일상 생활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습니다. 채권 투자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채권 투자 채권은 발행 주체가 파산을 하지 않는다면 대체로 은행 예금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채권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증권사 등 금융 회사를 거쳐야 합니다.. 더보기
채권 금리는 어떻게 결정 되나요? 지난 글에서 ‘채권’에 대한 이모저모를 알아 보았습니다. https://dentjcs.tistory.com/194 (채권이란?) https://dentjcs.tistory.com/195 (채권의 종류) 이번 글에서는 채권의 금리는 무엇에 의해 결정 되는지 공부해 보겠습니다. 1. 채권의 금리는 어떻게 결정 되는가? 채권의 금리는 시장 전체의 자금 수급 상황과 위험성에 의해 결정 됩니다. (1) 자금 수급 상황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해 돈을 쉽게 구할 수 있으면 채권 금리는 내려갑니다. 시중에 돈이 많은 상황이니 낮은 금리로 채권을 발행해도 채권을 매입하겠다는 사람이 나타납니다. 반대로 자금을 구하기 어려우면 채권 금리는 올라갑니다. 시중에 돈이 별로 없는 상황이니 높은 금리로 채권을 발행해야 겨우 채권을 .. 더보기
셰어하우스 사업 준비하기 - 계약서에는 어떤 내용이? 이번 글에서는 셰어하우스 사업을 운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몇 가지 궁금증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합니다. 이번 글이 셰어하우스 관련하여 포스팅하는 마지막 글이 될 것 같습니다. 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책을 추가로 읽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셰어하우스 입주자의 입주 기간은? 일반적으로 셰어하우스 입주자들은 20~30대 초반으로 대학생, 취준생, 프리랜서, 직장인입니다. 대학생의 경우 한 학기 정도만 계약하고 싶어 합니다. 개인 사정으로 인해 휴학이나 유학을 하는 대학생들도 많습니다. 신입 직장인들도 의외로 짧은 임대 기간을 선호합니다. 결과적으로 6개월 정도로 계약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낫습니다. 1~3개월 정도로 계약을 진행하면 입주하자마자 더 살지, 나갈지 입주자에게 물어야 합니다. 이러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