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업자 정보/셰어하우스

셰어하우스 사업 준비하기 - 계약서에는 어떤 내용이?

이번 글에서는 셰어하우스 사업을 운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몇 가지 궁금증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합니다.

 

이번 글이 셰어하우스 관련하여 포스팅하는 마지막 글이 될 것 같습니다.

 

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책을 추가로 읽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셰어하우스 입주자의 입주 기간은?

 

일반적으로 셰어하우스 입주자들은 20~30대 초반으로 대학생, 취준생, 프리랜서, 직장인입니다.

 

대학생의 경우 한 학기 정도만 계약하고 싶어 합니다.

 

개인 사정으로 인해 휴학이나 유학을 하는 대학생들도 많습니다.

 

신입 직장인들도 의외로 짧은 임대 기간을 선호합니다.

 

결과적으로 6개월 정도로 계약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낫습니다.

 

1~3개월 정도로 계약을 진행하면 입주하자마자 더 살지, 나갈지 입주자에게 물어야 합니다.

 

이러한 업무가 입주 인원이 늘어나면 더 잦고 귀찮은 일이 될 수 있습니다.

 

 

2. 셰어하우스에서 30일 이내로 입주자를 모집해도 되나요?

 

셰어하우스는 주거용 임대 사업입니다.

 

만일 셰어하우스에서 30일 이내의 초단기 입주자를 모집하게 되면 주거용 공간에서 숙박업을 한다고 하여 벌금을 낼 수 있습니다.

 

30일 미만의 입주자를 지속적으로 받는 것은 불법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3. 셰어하우스 입주계약서에는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하나요?

 

(1) 계약 기간

 

1~6개월 수준에서 계약 기간을 정합니다.

 

 

(2) 입주예치금과 입주금

 

입주예치금은 기존 임대차계약서에 표시된 임대 보증금과 성격이 유사합니다.

 

하지만 임대 보증금과 달리 통상 매달 받는 입주금2개월분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책정합니다.

 

임대인의 상황에 따라 입주예치금은 더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

 

 

입주금은 월세금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입주금은 월세금처럼 단순한 공간을 사용하는 비용 외에 내부의 다양한 생활용품과 커뮤니티 서비스를 모두 누리며 지불하는 금액입니다.

 

 

(3) 위치

 

셰어하우스의 계약서에는 집 주소에 입주자가 사용하는 침대의 위치를 추가합니다.

 

침대 이외에도 나누어 사용하는 다른 공간이 있다면 같이 표시해줍니다.

( 주방의 수납공간, 서랍장 공간, 신발장 등 )

 

 

(4) 운영 규정

 

셰어하우스의 계약서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함께 살기 위해 지켜야 할 단체 규율의 성격입니다.

 

ex) 정리 정돈은 꼭 해야 합니다, 실내 흡연은 안 됩니다, 식사 후에는 설거지를 해야 합니다 등

 

운영 규정을 지키지 못하면 강제로 퇴실까지 시킬 수 있다는 점을 계약서에 표시합니다.

 

 

(5) 관리비

 

그들이 사는 하우스 전체에 대한 관리비는 입주자 인원만큼 관리비를 1/n로 나누어서 낸다는 것을 계약서에 표시해줍니다.

 

매월 나오는 관리비를 나누는 것이 번거로우면 그것과 관계없이 월 고정금액으로 관리비를 책정하기도 합니다.

 

 

출처 : 김 과장도 돈 버는 셰어하우스 - 김신홍 저, 매일경제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