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서 쉐어하우스를 처음 시작할 때 고려해야 할 부분들,
위치 선정 및 기본적으로 입주자들이 고려하는 사항 등을 살펴 보았습니다.
https://dentjcs.tistory.com/189
(관심 있으신 분들은 이 링크로)
이번 글에서도 이어서 쉐어하우스 사업 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1. 쉐어하우스 주변에 필요한 편의시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1) 편의점
편의점은 입주자들에게 있어서 한 끼 식사를 할 수 있는 분식점이 되기도 하고, 호프집이 되기도 하며 약국이 되기도 합니다.
입주자들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로 하우스 인근에 편의점이 있으면 입주자들이 생활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2) 카페
쉐어하우스에는 입주자 이외에 다른 외부인이 들어올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입주자의 지인이 찾아올 때는 인근의 카페에서 지인들을 맞이합니다.
혹은 인근 카페에서 입주자끼리 대화하며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3) 빨래방
쉐어하우스 내에는 대부분 세탁기가 있지만, 늦은 시간에 퇴근해서 집에 들어오면 다른 입주자들에게 피해가 될 수 있어서 세탁기를 돌리지 않습니다.
결국 주말에 세탁기를 돌리게 되는데, 주말에는 입주자들이 한꺼번에 세탁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금만 늦어도 빨래를 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하우스 인근의 빨래방은 입주자들이 잘 활용하는 공간이 됩니다.
(4) 서점, 피트니스 센터, 공원 등
입주자들이 여가를 보낼 수 있는 공간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들이 쉐어하우스를 선택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2. 쉐어하우스는 대학가에서만 할 수 있나요?
대학생보다 훨씬 더 많은 직장인과 프리랜서, 사회초년생 등이 쉐어하우스에 입주할 수 있는 고객입니다.
일부 직장인들은 더 높은 임대료를 지불하더라도 원하는 집에 입주하고자 하는 수요가 있습니다.
대학가보다 강남권이나 사대문, 여의도권 등 업무시설이 밀집하고 교통이 편리한 지역의 임대료가 높습니다.
이런 지역에 쉐어하우스를 공급하면 대학가보다 더 경쟁력이 있습니다.
이런 지역에서 진행하는 고급형 쉐어하우스의 경우, 1인 기준 월세 금액도 80~130만 원을 받고 있습니다.
직장과의 거리는 적절한지, 하우스의 내부공간은 어떻게 구성할지,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지역인지 등 다양한 고민을 하면 대학가가 아닌 지역이더라도 좋은 쉐어하우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직장인을 위해서 직주거리를 감안해 교통이 편리한 역세권으로 결정하면 됩니다.
지하철 2호선은 서울 시내를 비롯해서 가산, 강남, 잠실, 성수 등 주요 업무 지역을 모두 지납니다.
또한 경기대, 이대, 홍대, 서울대, 건대 등 많은 대학교도 연결이 되어 있어서 입주자들 입장에서 볼 때 직장이나 학교로의 이동이 편리한 노선입니다.
버스 정류장 위치도 중요한 검토 사항입니다.
버스의 경우에는 노선을 미리 체크해야 합니다.
노선이 사대문권 또는 강남, 여의도 등 업무시설이 밀집된 지역으로 연결이 되어 있는지 살펴봅시다.
출처 : 김 과장도 돈 버는 셰어하우스 - 김신홍 저, 매일경제신문사
'사업자 정보 > 셰어하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셰어하우스 방 크기는 어떻게 할까요? (2) | 2020.04.27 |
---|---|
쉐어하우스는 어떤 장소에서 운영하나요? (0) | 2020.04.26 |
쉐어하우스 사업시 고려해야할 점 - (1) 위치, 기본 (0) | 2020.04.26 |
남의 집을 빌려서 쉐어하우스 사업을 할 수 있다고?(전대) (0) | 2020.04.25 |
쉐어하우스 사업 시작하기 (0) | 2020.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