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셰어하우스 사업을 시작하는데 있어서 구체적인 준비 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쉐어하우스 개인 공간의 방은 어느 정도 크기여야 할까요?
1. 쉐어하우스 방의 크기는?
방 안에 침대, 장롱, 책상 등을 배치하고 최소한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1인실의 경우 대략 9~10㎡가 가장 적절하다.
다인실은 15㎡가 넘어야 한다.
2. 쉐어하우스의 화장실은 몇 개여야 하나요?
쉐어하우스 대부분은 화장실을 공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화장실 1개소 대비 4인 이하가 적당합니다.
화장실 1개소 기준으로 5명이 넘게 되면 불편합니다.
특히 오전 출근 준비시간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화장실에 입주자들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주자들 자체적으로 순번을 정해서 화장실을 사용합니다.
사용시간은 20분 이내로 서로 약속합니다.
방 하나에 화장실이 달려 있는 원룸형 구조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방 안에 화장실이 포함된 경우 습기와 악취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쉐어하우스 면적에 따른 적정 거주 인원은 어떻게 될까요?
(1) 전용 면적 59㎡ 아파트
방이 3개인 경우에는 방을 각각 1인실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안방이 15㎡를 초과하는 면적이라면 2인실로 할 수 있습니다.
주방과 거실을 공용 공간으로 활용하면 3~4인을 위한 쉐어하우스로 이용이 충분합니다.
(2) 전용면적 85㎡ 규모의 공간
안방은 2인실, 나머지 방은 1인실로 구성해 4인을 위한 쉐어하우스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3) 전용면적 110㎡ 규모의 공간
안방은 2인실, 나머지 방은 1인실로 구성해 5명, 중간 방이 15㎡가 넘을 경우 6명의 쉐어하우스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현재 이정도 규모의 쉐어하우스를 확인해보면 대부분 다인실 위주로 쉐어하우스를 공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쉐어하우스를 만들면 2~3인실로 준비한 방은 결국 1명이 방을 쓰는 시간이 더 많습니다.
(4) 한 동의 건물에서 쉐어하우스를 진행하는 경우
리모델링해서 1층 또는 2층까지 근린생활시설로 준비하고, 3층 이상은 주거용으로 쉐어하우스를 검토할 수 있습니다.
최소한의 공용 공간을 꼭 확보해줘야 합니다.
공용 공간은 1인 기준 10㎡ 정도가 적당합니다.
건물의 공간 중 각 층마다 한켠을 커뮤니티 공간으로 배치할 수도 있고, 아예 한 개 층으로 몰아서 공용 공간으로 배치할 수도 있습니다.
공용 공간을 개인 공간과 층을 구분해 배치하게 되면 각 공간의 침범이 거의 없어져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잘 활용하지 않는 공간인 지층, 옥탑층을 리모델링해 쉐어하우스 입주자에게 커뮤니티 공간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혹은 건물의 저층부인 1, 2층은 카페나 식당 등으로 임차를 줍니다.
가능하면 음식을 팔거나 차를 파는 곳이 좋은데, 입주자들이 선호하고 자주 사용하는 업종을 선별해 임차를 진행합니다.
점포의 임차인에게는 쉐어하우스 입주자에게 약간의 할인을 해달라고 제안하면 임차인 입장에서도 안정적인 매출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출처 : 김 과장도 돈 버는 셰어하우스 - 매일경제신문사, 김신홍 저
'사업자 정보 > 셰어하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셰어하우스 사업 준비하기 - 계약서에는 어떤 내용이? (0) | 2020.04.28 |
---|---|
쉐어하우스 창업시 필요한 물품은 무엇이 있을까? (0) | 2020.04.27 |
쉐어하우스는 어떤 장소에서 운영하나요? (0) | 2020.04.26 |
쉐어하우스 사업시 고려해야할 점 - (2) 편의시설, 교통 (1) | 2020.04.26 |
쉐어하우스 사업시 고려해야할 점 - (1) 위치, 기본 (0) | 2020.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