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구독경제 비즈니스모델 고찰

구독 경제 비즈니스

 

 

1. 구독 경제 모델


2010년대 초반 미국에서 처음 생겨났습니다.

 

경제 저성장 분위기에서 샴푸, 면도날 같은 생활 소모품을 소포장 단위로 낮은 가격에 정기배송해 주는 서비스가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제는 화장품, 액세서리, 기저귀, 완구, 세제, 커피, , , , 반찬, 신선식품, 가정간편식까지 고객이 월정액을 내고 배달받아 쓰는 소비 방식이 일반화 되었습니다.

 

 

영화, 음악, 드라마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이용합니다.

 

가구, 가전제품, 침대뿐만 아니라 비행기, 기차 이용에 대해서도 월정액 상품이 등장했습니다.

 

 

계약 기간 동안 돈을 내고 제품,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독경제는 다수의 소유주가 보유한 유휴 자산을 다수의 이용자가 나눠 쓰는 공유 경제와 구별됩니다.

 

 

 

2. 구독경제의 대상은?


(1) 소비재와 내구재 등 물리적인 유형의 제품

 

(2) 프리미엄 고객에 대한 지원, 교육, 수리, 유지, 법률 자문, 건강 검진 등 계약된 기간 중 정기적으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3) 소프트웨어나 콘텐츠, 데이터, 제품 구매 자문 활동, 연구 보고서, 뉴스 제공, 소비자 리포트 등 디지털 정보재

 

(4) 네트워크 구독은 개인이 특별한 플랫폼에 가입하거나 특별한 사람들의 집단에 접근할 수 있는 멤버쉽을 제공하고 수익을 창출합니다.

 

 

 

 

 

좀 더 자세히 알아 봅시다.

 

- 신문, 우유와 같이 규칙적으로 반복 구매되는 물리적인 상품 또는 음악 스트리밍 등 디지털 상품은 구독경제의 가장 대표적인 케이스입니다.

 

- 콘도 이용처럼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가입하는 서비스

 

- 선불 방식의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 유료회원 가입 커뮤니티나 공동 구매 프로그램

 

- 기업 생산을 지원하는 관리 서비스나 산업용 서비스

 

 

 

 

커뮤니티 멤버십은 가입 고객에게 특별한 혜택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멤버는 가입비나 월정액과 같이 별도의 회비를 서비스 이용 대가로 지불합니다.

 

전통적 멤버십, 온라인 회원 방식, 온라인 커뮤니티, 로열티 프로그램, 마일리지 프로그램, 비영리 단체, 전문가 모임 등 제품과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3. 구독 경제 성장 전략


(1) 상향 판매

 

기본 버전의 제품을 무료로 제공하여 고객층을 넓힌 다음에 업그레이드한 버전의 제품을 유료로 파는 전략입니다.

 

기능이 더욱 풍부하면서 가격은 비싼 서비스 에디션을 핵심 고객에게 판매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2) 교차 판매

 

기존 고객에게 보다 포괄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추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3) 판매제휴

 

고객에게 무료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3자에게 유료로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4) 결합판매

 

제품이나 서비스에 다른 종류의 제품과 서비스를 끼워 파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