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 영역 기재 방식의 변화
|
2002년생(2021학년도 대입) |
2003, 2004년생(2022.2023학년도 대입) |
2005년생부터(2024학년도 대입부터) |
자율활동 |
연간 500자 |
연간 500자 |
연간 500자 |
동아리활동 |
연간 500자 |
연간 500자 |
연간 500자 |
정규.자율동아리 |
자율동아리는 연간 1개만 기재 |
자율동아리 대입 미반영 |
|
청소년단체활동 및 스포츠클럽활동 기재 |
청소년단체활동은 단체명만 기재 |
청소년단체활동 미기재 |
|
소논문 기재 가능 |
소논문 기재 금지 |
소논문 기재 금지 |
|
봉사활동 |
연간 500자 |
특기사항 미기재 |
특기사항 미기재 |
실적 및 특기사항 |
교내.외 봉사활동 실적 기재 |
개인봉사활동 실적 대입 미반영, 단 학교에서 교사가 지도한 실적은 반영 |
|
진로활동 |
연간 700자 |
연간 700자 |
연간 700자 |
진로희망 분야 대입 미반영 |
진로희망 분야 대입 미반영 |
||
수상경력 |
모든 교내수상 |
교내수상 학기당 1건만 대입 반영 |
대입 미반영 |
독서활동 |
도서명과 저자 |
도서명과 저자 |
대입 미반영 |
- ‘미기재’는 학생부에서 삭제, ‘미반영’은 기재는 하지만 대입 자료로 쓰지 않는다는 의미
- 2019년 11월에 교육부에서 발표한 대입개편안에는 2024학년도 대입부터는 교과과정과 무관한 비교과 영역을 제외하고, 교과연계활동까지만을 대입에 반영하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하지만 학년별로 적용 시기와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교육부가 발표한 학생부 기재 방식의 변화를 정확히 이해한 후 미리 준비해야 한다.
학생부 기재 방식의 변화는 크게 ‘기재 항목의 변화’와 ‘글자수 변화’로 나뉜다.
교과 영역보다는 비교과 영역의 변화가 크다.
(1) 기재 항목 변화
학생부 비교과의 대표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상황’ 전반에 큰 변화가 있다.
‘동아리활동’은 2021학년도 대입까지는 정규동아리와 자율동아리 모두를 학생부에 기재할 수 있었지만, 자율동아리가 사교육 및 외부의 영향력이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자 축소.폐지 된다.
2022학년도부터 2년간은 연간 1개(최대 6개)만 기재하고 그마저도 동아리명과 간단한 동아리 설명처럼 객관적으로 확인 가능한 사항만 기재할 수 있다.
2024학년도부터는 아예 자율동아리 기재 부분을 대입에 반영하지 않는다.
‘소논문’은 2021학년도 대입을 끝으로 학생부 어느 항목에도 기재 자체를 금지한다.
‘봉사활동’은 2021학년도까지는 실적 및 특기사항을 모두 기재할 수 있고, 2022학년도부터 2년간은 봉사호라동의 실적만을 기재하고, 2024학년부터는 개인봉사활동 실적인 대입에 미반영, 교내에서 교사가 지도한 실적만 반영된다.
‘진로활동’에서는 2022학년도부터 특기사항에 기재할 수 있었던 것을 전면 미반영 한다.
‘수상경력’ 분야도 2022학년도부터는 교내수상을 학기당 1건만 반영하고 2024학년도부터는 아예 모든 수상경력을 대입에 반영하지 않는다.
‘독서활동’의 경우 2023학년도까지는 도서명과 저자를 간략하게 기재할 수 있지만 2024학년도부터는 대입에 미반영 된다.
(2) 글자수 축소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특기사항은 기존 3000자 분량에서 2022학년도부터는 1,700자로 분량이 대폭 축소 되었다.
봉사활동은 특기사항은 기재하지 않고 실적만 기재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담임선생님이 기재하는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항목도 기존 1,000자에서 500자로 작성 분량이 절반 가량 줄어 들었다.
출처 : 무적의 학습포트폴리오 - 지식너머, 권태형 저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대학원 유학 - 지원 서류 및 입학허가 (0) | 2020.04.09 |
---|---|
독일 유학 - 대학원 연구계획서 작성법 (0) | 2020.04.08 |
독일 대학원 유학 가이드 (0) | 2020.04.08 |
대학 입시 제도 주요 전형 (0) | 2020.04.03 |
2015개정교육과정 선택과목의 중요성 (0) | 2020.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