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2015개정교육과정 선택과목의 중요성

1. 2015개정교육과정 선택과목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선택과목이 생기면서 진로는 교과의 영역에까지 들어오기 시작했다.

 

1학년 때는 공통과목인 국, 영, 수,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 이렇게 7개 과목을 공부하고, 이어서 일반선택과 진로선택과목을 본인의 교과실력과 진로목표에 따라 선택해서 수강하게 된다.

 

 

예시로, 영어 영역 진로 선택과목 중에서 ‘영어권 문화’라는 과목이 있다.

외교학과 등 연관 전공을 희망하는 학생이라면 꼭 수강해야 하는 과목인데 이런 내용을 모르고 있다가는 나중에 대입 준비 과정에서 곤란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

(특히 학생부종합전형에서! ) ------> 학생부종합전형의 설명은 아래로 !!!

 

 

 

 

교과영역

교과(군)

공통과목

선택과목

일반선택

진로선택

기초

국어

국어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실용 국어, 심화 국어, 고전 읽기

수학

수학

수학1, 수학2, 미적분, 확률과 통계

실용 수학, 기하, 경제 수학, 수학과제 탐구

영어

영어

영어 회화, 영어1,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2

실용 영어, 영어권 문화, 진로 영어, 영미 문학 읽기

한국사

한국사

 

 

탐구

사회(역사/도덕 포함)

통합사회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고전과 윤리

 

 

 

 

2. 학생부종합전형

 

내신점수뿐 아니라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사항과 면접 등을 통해 학생의 학업역량과 발전 가능성, 인성 등을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유형이다.

 

상위권 대학에서는 가장 많은 신입생을 뽑는 전형

 

학부모들의 이해와 대비가 부족한 상황이 아쉽다.

 

준비 과정이 타 전형에 비해 더욱 더 중요하다.

 

 

- 학생부(내신 + 기재사항) + (면접) + (수능최저기준) + (자소서) 등

 

단, 자소서는 2024학년도 대입부터 폐지 된다.

 

 

 

 

 

출처 : 무적의 학습포트폴리오 - 지식너머, 권태형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