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덴탈빈

덴탈빈 sinus 코스 - 전인성 원장님 필기노트 - (1) 1강 거상술 성공요건 new floor가 white한 line 기존의 floor 사라짐 clean sinus 재함기화 현상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우리가 넣어 놓은 뼈가 없어지는...) 함기화 현상은 의외로 상악동 거상술을 쉬워지게 하는 요소 함기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면 점막이 매우 얇아서 건드리기만 해도 찢어진다. drain 잘 안되거나 뼈 이식재 양이 불충분 구개측 거상이 충분히 되지 않음 이식골 사이즈가 너무 크면 -> 재함기화가 일어날 수 있다. septum이 존재하면 bone frame이 강화되어 있고, 상악동 거상술이 실패했다고 하더라도 bone frame이 녹지 않는다. 게다가 blood supplier가 좋다. septum의 base에 임플란트를 식립해도 됨. septum이 있는 경우 윈.. 더보기
덴탈빈 hard tissue managent 인강 - 전인성 원장님 molar immediate 상악동저에서 치조골까지 거리가 7mm 이상이면 gbr 방식으로 sinus를 2mm 정도 뚫고 올라갈 수 있어야 apex에서 초기 고정이 얻어진다. 9~10mm의 alveolar bone이라면 10mm를 좀더 깊게 심는다. 상악동저에서 치조골까지 거리가 5mm면 상악동 거상하고 심는다. (굳이 뼈 이식 안해도 된다.)(4,5mm) 1mm 정도 드릴링하고 osteotome으로 툭 친다. 그 상태로 드릴링 7mm rule일때는 8mm 심는다. 5mm rule일때도 8mm 심는다. 3mm rule(lateral 일 때) 10~12mm 심는다. 상악 대구치 부분 가운데 심다가 천공되는 경우 palatal이 intact하면 palatal에 심는 것이 낫다. 치관부로 갈수록 가운데로 an.. 더보기
덴탈빈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인강노트 - 전인성 원장님 1강 상악 중절치 사이 black triangle 임플란트 식립으로 없앨 수 없다. (뼈와 접촉점 사이의 거리가 5mm 넘음) flapless (발치와 동시에 하는 경우), healed ridge에서는 flap 열어야 한다. limited flap : 임플란트 심고 동시에 임시 치아 만들 때 유용(인접치는 flap 안 연다.) healed ridge에서도 쓸 수 있다. unilateral verticl incision flap : 한쪽으로만 vertical incision 발치 후 즉시 식립, moderate GBR, CT graft wide flap : 많은 양의 gbr 동반, 연조직 이식 vertical incision은 bone level이 좋은 인접치에만 긋는다. (심미적인 이유때문) 인접 치아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