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디지털화폐 시장의 현황
전 세계 25억명의 이용자를 보유한 페이스북이 암호화폐 리브라(Libra) 발행에 나섰습니다.
세계 각국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발행 경쟁에 나섰습니다.
중국에서는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디지털화폐를 시중에 공급하는 계획을 구체화합니다.
선진국 중앙은행들도 디지털화폐 발행 공동연구를 시작했습니다.
민간에서도 투자은행인 JP모건은 블록체인 기반의 은행 간 디지털 코인을 발행한다는 구상이고 한국에서는 네이버가 암호화폐 링크를, 카카오는 클레이를 각각 선보였습니다.
2. 페이스북
2019년 페이스북은 메신저와 왓츠앱을 이용해 구매, 송금 기능을 갖춘 지급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리브라를 발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리브라는 준비금으로 통화가치가 보장됩니다.
3. 리브라의 특징
리브라는 폐쇄형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안전성, 신뢰성, 확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암호화폐입니다.
전 세계 1/3에 해당되는 수십억 명이 동시에 사용할 경우 거래 처리량, 지연속도, 효율성, 데이터 저장 관점에서의 적합성을 제고하고 무브라는 전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스마트 금융계약을 활용한 플랫폼을 구축, 금융 데이터 저장 및 처리 시 강력한 보안 시스템을 갖추며 다양하고 혁신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충족한다는 목표로 설계됐습니다.
또한 페이스북은 달러, 유로, 영국 파운드, 싱가포르 달러 등 각국 통화에 연동하는 다양한 안정화폐를 개발합니다.
각 법정화폐와 연동하는 안정화폐들을 ‘통화 바스켓’ 안에 담아 가치를 담보하는 자체 암호화폐 ‘리브라 코인’을 공급합니다.
페이스북 대신 독립된 자회사 칼리브라와 리브라 네트워크가 화폐 발행 및 금융 서비스와 상품 개발, 운영 및 통제를 담당합니다.
페이스북 플랫폼에서 리브라가 등장할 경우 국경을 넘어 쇼핑, 콘텐츠 소비, 홍보, 각종 취미활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3. 리브라의 발행이 미칠 영향은?
현금 이용의 축소에 따라 국가적으로 화폐 발행과 관리에 따르는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습니다.
또한 포용금융 기능을 제고하는 효과도 기대됩니다.
페이스북은 리브라가 금융소외계층과 개발도상국 국민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은행 계좌가 없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금융소외계층이 모바일기기를 통해 리브라 송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세계 각국 중앙은행은 리브라의 등장으로 국가, 사회적으로 대두되는 여러 가지 부작용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금융시스템 붕괴, 개인정보 침해, 금융소비자 피해, 화폐 질서 교란, 자금세탁, 마약거래, 인신매매, 테러자금 조달 창구화 가능성 등입니다.
리브라의 가격 안정성에도 의문이 제기됩니다.
결과적으로 페이스북의 정보 보안 능력에 대한 불신, 소수 글로벌 대기업에 금융 권력이 집중되는 데 따르는 독과점 폐해, 통화당국의 금융정책 효과를 무력화하는 동시에 전통적인 금융기관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문제 등으로 부정적 의견을 요약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이란 관련 용어 총정리 (0) | 2021.07.30 |
---|---|
세계 각국의 가상화폐 규제 및 정책은? (0) | 2020.04.24 |
암호화폐, 가상화폐의 세금은? (0) | 2020.04.24 |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 금융, 유통 및 물류 업계 (0) | 2020.04.24 |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 의료 분야, 공공.사회.문화 서비스 분야 (0) | 2020.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