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

정부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작성 TIP

정부지원사업은 대부분 서류접수, 서면평가, 대면평가의 기본 절차를 거쳐 진행됩니다.

 

신청 기업의 50% 이상이 서면평가에서 떨어집니다.

 

이유는 바로 사업계획서의 내용이 미흡하기 때문입니다.

 

 

정부지원사업에 있어서 사업계획서의 비중은 아주 절대적입니다.

 

심사위원들은 해당 기업의 사업계획서를 토대로 사업성, 수익성, 기술성 등을 평가해서 지원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심사위원 입장에서 비슷비슷한 초기 기업들의 비교우위를 가늠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가

 

바로 사업계획서입니다.

 

 

 

1. 사업계획서란?

 

사업계획서는 비즈니스 모델 작성 후, 사업에 대한 밑그림으로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사업 전반에 대한 내용을 문서화한 것입니다.

 

사업의 수행 주체, 기업의 활동 범위, 자원의 활용 방법, 경영 전략 등 사업에 관한 제반사항을 체계적으로 작성한 문서입니다.

 

 

2. 사업계획서의 구성 요소는?

 

사업계획서에는 크게 회사의 개요와 시장 분석 내용, 개별기술 및 제품 소개, 사업 추진 전략, 재무 계획이 들어갑니다.

 

내가 무엇으로, 얼마를, 어떻게, 언제 벌 것인지에 대한 설계가 제대로 짜여 있어야 합니다.

 

시장성 있는 제품을 통해, 어떤 소비자에게 어필을 해서, 얼마만큼의 수익을, 언제 올릴지에 대한 현실적인 전략과 목표가 구체적으로 들어있어야 합니다.

 

 

이를 객관적이면서도 간결하고 체계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3. 사업계획서 작성의 노하우

 

(1) 두루뭉술한 표현은 쓰지 않는다.

 

심사위원들은 대부분 가점제가 아닌 감점제 방식으로 평가를 합니다.

 

그러다 보니 감점 요인이 되는 표현을 쓰면 탈락의 대상이 됩니다.

 

시장 크기를 설명함에 있어서도 시장의 전체 규모보다는 실제로 진입할 수 있는 시장이 어디인지, 독점했을 경우의 시장 규모는 어느 정도인지, 초기 핵심 타깃의 시장 크기 등을 명확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실현 가능하지 않은 과장된 수치나, 잘못된 정보를 나열하면 안됩니다.

 

 

애매모호한 표현을 피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숫자로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객관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정확하고 공인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더불어 자료의 출처는 반드시 정확히 밝혀야 합니다.

 

정부 과제는 자료를 근거로 타당성을 결정하고, 자료 출처가 없는 경우 신빙성을 의심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공인된 논문자료집 등의 원본 출처를 찾아서 자료에 표기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2) 창업 아이템에 대한 전문성과 연관 경력 등을 담는다.

 

해당 사업 분야에 얼마만큼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지, 어떤 경력을 쌓아 왔는지를 어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불어 위기나 악재가 닥쳤을 때 이를 극복해 나갈 의지가 얼마나 강한지 표현하는 것도 핵심입니다.

 

실제로 과거에 내가 역경을 극복한 사례가 있다면, 이 경험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서 진정성 있게 담아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내가 이 창업을 위해 해온 노력, 창업가 마인드를 녹여내야 합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실제 타깃 고객들을 몇 명이나 만나 봤는지, 그들의 반응이 어땠는지 등을 구체적인 데이터로 작성해서 표기해야 합니다.

 

 

 

(3) 간결하게 쓴다.

 

화려한 겉모습보다는 확실한 메시지가 중요합니다.

 

불필요한 미사여구도 과감히 버려야 합니다.

 

가독성이 높고 단순한 콘셉트로 어필해야 합니다.

 

 

 

(4) 아이디어 구상단계때부터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자.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대략적이라도 사업 전략, 수익 모델, 시장과 고객 등을 정리해서 작성해 놓고, 이후에 전략이 바뀌거나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버전업을 해서 다시 보완해 나가는 방식을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