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블록체인은 금융과 계약, 화폐의 가치에 한정되어 사용되어 왔다.
앞으로는 헬스케어, 사회, 문화, 유통 등 다양한 산업에서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기술이 녹아들고 연결되는 단계를 볼 수 있을 것이다.
1. 1세대 암호화폐
(1) 비트코인(Bitcoin)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중앙은행, 금융회사, 정부 등 중앙의 집중된 권력의 개입이나 통제 없이 개인과 개인이 직접 주고받을 수 있고, 분산화된 장부를 통하여 거래를 투명하게 기록할 수 있는 최초의 분산장부를 사용하는 암호화폐이다.
비트코인을 얻는 방식은 작업증명(Proof of Work)이다.
복잡한 수학 문제를 풀어서 암호를 해독하여 코인을 얻어내는 방법이다.
비트코인은 최초의 분산장부 시스템을 이용한 암호화폐로 2020년 1월 기준 시가총액이 약 199조 원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20년 1월 31일 기준, 와이스 레이팅스의 암호화폐 평가에서 A-(매우 훌륭함)이라는 최고 수준의 평가를 받았다.
암호화폐에서 기축통화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2) 비트코인 캐시(Bitcoin Cash)
비트코인캐시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하드포크되어 나온 암호화폐이다.
하드포크란 블록체인을 인위적으로 분리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비트코인이 단기간에 급성장 하면서 거래가 많이 늘었는데 블록 크기는 그대로여서 높은 수수료를 내지 않으면 거래 승인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해결 방법을 놓고 개발자들과 채굴자들 사이에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결국 채굴업체 ‘비트메인’의 주도로 비트코인 캐시가 탄생했다.
와이스 레이팅스의 암호화폐 평가에서 C(보통)를 받았다.
...
(3) 비트코인 골드(Bitcoin Gold)
비트코인골드는 비트코인의 탈중앙화를 목표로 비트코인에서 하드포크하여 분리된 암호화폐이다.
비트코인캐시에 이어 두 번째로 분리되었다.
시간이 지나고 비트코인의 채굴 난이도가 높아지면서 전문적인 채굴업체가 등장했다.
이에 비트코인 채굴 세력의 거대화와 독점화에 반대하는 세력이 생겨났고 일반인들도 쉽게 접근 가능한 GPU로 채굴할 수 있도록 비트코인에서 분리된 암호화폐가 비트코인골드이다.
와이스 레이팅스에서 C- 등급을 받았다.
(4) 리플(Ripple)
리플은 송금에 특화된 암호화폐이다.
시스템을 중앙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채굴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된 암호화폐라고는 볼 수 없다.
분산원장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결제시스템이기 때문에 송금수수료가 저렴하고, ‘리플’을 매개로 전 세계 어디로든 몇 초만에 송금할 수 있다.
리플은 강력한 송금 기능으로 은행권과 MOU를 맺으며 기존의 은행과 상생하는 업무 협업체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2020년 1월 리플이 IPO를 추진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2019년 12월에는 시리즈 C 투자 라운드를 통해 2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출처 : 블록체인, 디지털에 가치를 더하다 - 심준식 저, 한국금융연수원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폐 공개(ICO) 법적 이슈와 가상화폐의 분류 (0) | 2020.04.23 |
---|---|
가상화폐 ICO 절차 가이드 (2) | 2020.04.22 |
스마트 컨트랙트 (0) | 2020.04.22 |
블록체인의 핵심 이론 - 작업증명, 지분증명 (0) | 2020.04.22 |
2세대 암호화폐 정리 - 이더리움, 이더리움클래식, 네오, 카르다노, 스팀 (0) | 2020.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