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렌드/블록체인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

1. 스마트 계약의 특징

 

스마트 계약은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유, 무형의 디지털 자산을 통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스마트 계약이란 상품 수령 후 지불이 일어나는 것과 같이 사건이 촉발한 명령을 여러 주체를 망라하여 자동으로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기존 컴퓨터 프로그램과 다른 점은 블록체인 시스템 내의 규칙의 집행을 보증하고, 스마트 계약 집행의 산출물은 네트워크상의 모든 참여자들이 감사하고 검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스마트 계약을 위한 플랫폼은 공개형 블록체인에서는 이더리움 기반이거나 폐쇄형 블록체인에서는 하이퍼레저 기반이다.

 

스마트 계약은 거래 비용이 높은 분야, 계약 불이행으로 인한 부작용이 많은 분야, 음악.보험 등 확장 가능성이 많은 분야에 우선 적용할 수 있다.

 

스마트 계약은 아직 초기 상태이므로 개인키를 잃어버린 경우나 충분한 정도의 테스팅이나 품질 보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보안상의 취약점을 가지고 있기 마련이다.

개인키를 잃어버린 경우에는 블록체인상에서는 이를 재생하거나 다른 것으로 재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엄청난 재산상의 손실을 입거나 해당 스마트 계약의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2. 스마트 계약 이행의 불확실성에 관한 문제

 

- 스마트 계약에 컴퓨터 버그나 에러가 있을 경우에는 어떻게 할 것인지가 문제가 된다.

 

- 조건 충족을 확인하기 위한 외부 자료에 대한 정확성을 어떻게 담보하는가의 문제이다.

 

- 모든 계약 조건을 코드화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한가이다.

 

 

3.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비트코인을 이용한 스마트 계약은 용이하지 않으나 이더리움에서는 이를 반영하였다.

 

비트코인과 달리 이더리움은 반복문이 사용가능한 스크립트를 지원함으로써 화폐 등의 단순한 데이터 전송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연산, 저장 등 처리가 가능해서 스마트 계약의 개념을 구현할 수 있다.

 

비트코인의 경우 처음부터 스마트 계약을 상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비트코인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 프로그램을 만들기는 어렵다.

 

비트코인 스크립트는 반복문을 사용할 수 없고, 반복문의 오류로 인해 무한루프가 발생하면 네트워크의 모든 트래픽이 무한루프에 집중되어 네트워크 전체가 다운될 수 있다.

 

 

 

출처 : 블록체인 마스터 - ksam, 이상진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