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은 보안의 형태에 따라 공개형과 폐쇄형으로 구분된다.
블록체인에 따라 사전승인이 필요한 경우와 사전승인이 불필요형이 있는데 공개형 블록체인은 공개형 사전승인 불필요 블록체인으로 볼 수 있다.
1. 공개형 블록체인
공개형은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자를 포함해 어느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그 참여자에 대한 신뢰가 전제되지 않는 블록체인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상적이고 정직한 행동에 대해 인센티브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이를 담보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암호경제의 완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공개형 블록체인에서는 익명의 참가자를 사전에 조회를 통과하지 않고, 운영구조의 규칙은 사회적 계약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공개형 블록체인의 운영구조에서 51% 이상의 다수결 원칙은 충분한 채굴력이나 자금력을 가진 네트워크 참여자들에 의해 그 규칙이 뒤집어지거나 다른 규칙이 강요될 수 있다.
공개형 블록체인에서는 모든 거래가 모든 참가자에게 보여지는데 이는 기업이나 경영체제에서 일부의 거래는 제한된 참여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생긴다.
2. 폐쇄형 블록체인
폐쇄형 블록체인 또는 폐쇄형 사전승인 블록체인은 신뢰할 수 있는 환경 아래에서 운영된다.
상대적으로 공개형보다는 더 안전하고, 참여자들의 정직한 행위를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
많은 기업들이 폐쇄형 블록체인이 데이터와 거래정보의 제3자에게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이를 선호한다.
폐쇄형 블록체인 내에서 참여자들은 법적 책임이나 응분의 제재를 회피하기 위해서 정직한 행위를 하게 된다.
폐쇄형 블록체인에서는 의사결정 절차가 미리 알려져 있고 조회를 통과한 참여자들이 법적으로 구속력 있는 행동강령을 준수하여야 한다.
출처 : 블록체인 마스터 - KSAM, 이상진 저
'트렌드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파이 코인 유니스왑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2) | 2022.01.05 |
---|---|
NFT란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0) | 2021.10.07 |
금융업 비즈니스에서 블록체인 활용 (0) | 2020.03.27 |
블록체인 분산앱 Dapp (0) | 2020.03.26 |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 (0) | 2020.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