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선진국(유럽, 미국 등)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상품 지난 글들에서 미국의 3대 지수에 투자하는 ETF 상품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https://dentjcs.tistory.com/207 S&P 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은? 이번 글에서는 미국 주식시장의 대표 지수를 따라가는 ETF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의 대표 지수에는 S&P 500 지수, 나스닥 지수, 다우존스 지수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P 500 dentjcs.tistory.com https://dentjcs.tistory.com/208 미국 나스닥 지수와 다우지수에 투자하는 ETF는 무엇이 있을까? 지난 글에서는 미국 대표 지수 중 S&P 500 지수에 투자하는 ETF 상품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못 보신 분들을 위한 링크 https://dentjcs.tistor.. 더보기
미국 나스닥 지수와 다우지수에 투자하는 ETF는 무엇이 있을까? 지난 글에서는 미국 대표 지수 중 S&P 500 지수에 투자하는 ETF 상품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못 보신 분들을 위한 링크 https://dentjcs.tistory.com/207 이번 글에서는 미국 대표 지수인 다우존스 지수와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더 궁금하신 분들은 '해외 ETF 백과사전'을 구입해서 읽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다우존스 지수 ETF 다우존스 지수는 30종목의 우량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지수 구성종목 수가 적어서 미국 주식시장을 전체적으로 반영하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소수의 대기업 위주로 지수를 구성하기 때문에 S&P 500 지수보다 안정적입니다. (1) DIA : SPDR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 더보기
S&P 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은? 이번 글에서는 미국 주식시장의 대표 지수를 따라가는 ETF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의 대표 지수에는 S&P 500 지수, 나스닥 지수, 다우존스 지수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P 500 지수에 투자하는 ETF를 중심으로 알아 보겠습니다. 1. S&P 500 지수 ETF S&P 500 지수는 세계적인 신용평가사 S&P에서 발표하는 주가 지수로 미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3대 지수 중 하나입니다. 산업별 비중은 IT 기술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금융, 헬스케어, 경기소비재, 산업 등이 있습니다. (1) SPY : SPDR S&P 500 ETF S&P 500을 추종 지수로 하며 미국을 대표하는 500종목의 보통주로 구성합니다. 우리나라의 코스피 200 지수에 투자하는 ETF의 미국 버전으로.. 더보기
미국 배당 성장 ETF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지난 글에서는 미국 고배당 ETF에 대하여 살펴 보았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로! https://dentjcs.tistory.com/205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미국 배당 성장 ETF를 알아 보겠습니다. '배당 성장'은 기업이 꾸준히 성장하면서 배당금도 증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배당 수익과 함게 시세 차익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1. SDY : SPDR S&P Divident ETF 미국에 상장된 배당 ETF 40종목 중에서 시가총액 2위를 자랑하는 배당 성장 ETF 입니다. 애브비, AT&T, Amcor PLC, 엑손모빌, IBM이 상위 종목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1) 추종 지수 S&P 1500 지수에서 20년 이상 꾸준히 배당을 늘려온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2) 분배율 201.. 더보기
실전 공매도 공매도란? 공매도는 주식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우선 남의 주식을 빌려서 비싸게 팔고, 나중에 싸게 사서 빌려온 주식을 갚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하락하는 주식을 샀는데 주가가 더 하락할수록 수익을 낼 수도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기관과 외국인에게만 공매도를 허용하고 있다. 대주거래 개인투자자가 증권회사로부터 주식을 빌려오는 거랠, 증권회사가 개인에게 주식을 빌려주는 것을 말한다. 증권 HTS에서 거래가 가능하고, 개인투자자에게도 허용되어 있다. 증권사별로 수수료가 다르며, 대주 매도 대금을 담보로 한다. 공매도는 우선 매도한 후 반드시 3일 이내에 매수해야 하는 제한 조건이 있다. 그래서 실제 거래에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주가가 하락한다고 해도 3일 뒤 주가가 다시 상승한다면 손.. 더보기
고금리 해외채권 투자는 안전할까? 오랫동안 저금리가 이어지면서 고이율의 외국채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터키나 브라질 등 신흥국의 통화로 발행된 외국채는 이율이 높은 경우가 많아서 상당히 매력적인 상품으로 인식하는 듯하다. 하지만, 이런 상품이 반드시 유리하다고만 할 수는 없다. 금리가 높은 통화는 대체로 인플레이션 비율이 높고 그만큼 통화 가치가 하락할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어느 신흥국의 국채 이율이 7%였다는 것은 그 나라에서 매년 7% 정도의 물가 상승이 발생했다는 뜻이다. 또한, 일물일가의 법칙때문에 마냥 유리한 상황은 존재하지 않는다. 상대국 통화와 원화 사이에 매도와 매수가 이루어질 때, 그 나라의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 상승분이 반영된다. 때문에 환율로 조정되어 얻을 수 있는 이익은 결국 달라지지 않는다... 더보기